KUDO 대역폭 요건
이 도움말에서는 KUDO 사용에 필요한 대역폭 요건을 알아보겠습니다. 네트워크의 WebRTC 대역폭 출력을 확인하려면, 다음 테스트를 실시하세요.
일반적인 세션 비디오 품질
KUDO 세션이 진행되는 동안 사용자의 네트워크 대역폭 강도에 따라 비디오 품질이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플로어에 있는 사람들(비디오를 공유한 참가자)에게 피드백 데이터 패킷을 전송해 사용자의 네트워크 대역폭 정보와 지원 가능한 비디오 품질을 알려주는 방식이죠.
카메라를 켠 참가자의 비디오 비트 전송률은 다른 참가자의 네트워크 상태에 따라 자동으로 조정됩니다. 다른 참가자 네트워크의 안정성과 속도는 플로어에 표시되는 비디오 품질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줍니다.
참고: 회의를 만들 때 비디오와 오디오 설정은 '자동 조정'을 기본값으로 합니다. 이 설정을 변경할 수는 있지만, 쾌적한 이용 경험을 위해 기본값을 그대로 유지할 것을 권장합니다.
세션 품질에 따른 대역폭 요건
아래 표에서 다양한 해상도 및 품질 수준에 따른 대역폭 요건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우수 - 미디어 장애가 전혀 없거나 감지하지 못할 정도로 미미
- 양호 - 약간의 미디어 장애로 순간적인 끊김 현상 발생
PC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능동 참가자의 경우)
각 비디오 해상도 및 품질 수준을 위해서는 아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품질 | 비디오 해상도 @ FPS | 비디오 Kbps | 패킷 손실 |
우수 | 1280x720 @ 30 | > 1000 | < 0.5% |
우수 | 640x480 @ 30 | > 600 | < 0.5% |
우수 | 352x288 @ 30 | > 300 | < 0.5% |
우수 | 320x240 @ 30 | > 300 | < 0.5% |
양호 | 1280x720 @ 30 | > 350 | < 3% |
양호 | 640x480 @ 30 | > 250 | < 3% |
양호 | 352x288 @ 30 | > 150 | < 3% |
양호 | 320x240 @ 30 | > 150 | < 3% |
오디오 전용 스트림(통역사의 경우)
각 품질 수준을 위해서는 아래 요건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품질 | 오디오 Kbps | 패킷 손실 |
우수 | > 30 | < 0.5% |
양호 | > 25 | < 5% |
오디오 및 비디오 스트림 해상도
- PC: 기본 비디오 설정은 640x480픽셀, 프레임 속도는 30fps입니다.
- Android: Android에서의 기본 비디오 설정은352x288픽셀, 프레임 속도는 30fps입니다.
- iOS: iOS에서의 기본 비디오 설정은 640x480픽셀, 프레임 속도는 30fps입니다.